공급 부족의 시대, 부동산 투자의 기회는 어디 있을까?
변동성은 커졌지만 오히려 이로 인해 새로운 투자 기회가 열리고 있다는 점에서 이번 책 『2025 결국은 부동산』에 대한 기대가 크다. 이 책은 전년에 이어 한층 더 업그레이드된 부동산 인사이트를 자신 있게 선보인다. 각 분야 최고의 전문가 20인이 제시한 통찰을 통해 다가올 시장 변화에 대비해보자.

교보문고
책 자세히 보기 : https://iryan.kr/t73bqaua1x
올해 부동산 시장에는 어떤일이 일어날까?
공급 부족이 2027년 이후까지 길게 이어질지는 불투명합니다. 이 글에서 본 것처럼 2027년부터 공급물량이 다시 증가하는 지역도 꽤 있고, 공급시기 미정물량도 시장이 살아나면 분양시장에 등장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2026년이 유례없는 공급 부족이 될 것이라는 사실은 변함이 없습니다. 그중에서도 공급이 특히 부족한 서울 강남구, 양천구와 강서구, 마포구, 공급 낙폭이 큰 대구와 인천, 세종, 경남, 꾸준히 물량이 적어 정부 정책이 변화한다면 반응도가 높을 울산에 주목하기를 바랍니다.
_79쪽(트루카피, 2026년을 생각한다면, 지금 어디를 사야 할까)
제가 2024년 들어 자주 언급하는 것이 바로 ‘분담금 5억 시대가 온다’입니다. 분담금 인식은 과거에 머물러 있지만, 공사비는 이미 2~3배로 올랐음을 인지해야 합니다. 과거에 사업성이 있던 곳들도 이제는 사업성이 없어졌고, 분담금을 감당할 수 없는 조합원이 많은 단지는 사업이 표류할 가능성이 큽니다. 만약 지금의 공사비 상승을 건설사의 요구라고만 생각한다면, 메이저 건설사의 영업이익률을 살펴보길 권합니다. 폭리를 취한다는 인식은 오해일 가능성이 큽니다. 중소ㆍ중견 건설사들이 어려움을 겪는 이유도 공사비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 결과입니다. 이 점을 이해하지 않는다면 재개발ㆍ재건축 투자는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_161쪽(투미부동산컨설팅 김제경, 공사비 평당 천만 원 시대가 온다)
주택청약 종합저축통장이 2009년 5월 9일 출시되어 2024년이 15년 차가 되는 해입니다. 청약통장 가입 기간 만점이 15년 이상 17점입니다. 여기에 무주택 기간 점수 최대 15년 이상 32점, 4인 가족 부양가족 점수 20점을 더하면 4인 가족이 도달할 수 있는 최대치가 69점이 됩니다. 70점이 넘으려면 자녀 3명 이상이거나 부모님을 3년 이상 모셔야 가능합니다.
_235쪽(열정로즈 정숙희, 2025년 서울 청약시장 대응과 준비)
다가구주택의 장점 중 하나는 플러스피(전세가 〉 낙찰가) 세팅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자금이 부족하다고 포기할 필요는 없으며, 신용이 좋다면 몇 개월 정도 필요한 자금을 빌려 투자를 시작할 수도 있다. 2024년 하반기 들어 다가구 무피 투자(전세 임대가가 낙찰가와 같거나 큰 경우) 사례가 많이 나오고 있다. 독자들도 자신이 사는 지역 근처에 경매로 나온 다가구주택이 있는지 확인해보고, 가능하면 땅을 소유할 수 있는 투자를 고려해보길 권한다.
_322쪽(달천 정민우, 2025년, 아파트보다 다가구주택 경매에 주목하라)
버블 시기의 일본에서는 전국적으로 부동산 가격이 상승했지만, 상승 폭은 지역에 따라 달랐다. 수도권과 대도시의 부동산은 상대적으로 큰 상승을 보였고, 그 외 지역은 상승이 크지 않았다. 그럼 버블 시기에 많이 오르지 않았던 도시의 부동산은 어떻게 되었을까? 버블 시기에 많이 오른 지역과 적게 오른 지역 모두 가격이 크게 하락했다. 상대적으로 적게 오른 지역이 더 큰 타격을 받은 셈이다. 많이 올랐던 곳에서는 ‘정상화’의 과정을 겪었다고 본다고 쳐도, 그다지 많이 오르지 않은 곳까지 내려앉아 버린 것이니 말이다.
_392쪽(백승 노윤정, 2025년 한국 부동산, 일본을 교훈 삼다)
예를 들어 일괄공제가 10억 원으로 상향된 상황에서 부동산의 시가 또는 평가액이 5억 원이라면, 상속 후 6개월 이내에 감정평가를 받아 이 가액을 바탕으로 상속세 신고를 하는 것이 좋다. 상속세가 발생하지 않으니 신고가 필요 없다고 여길 수 있지만, 이는 부모님의 소중한 재산을 준비 없이 상속받는 것과 같아 미래에 더 큰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_473쪽(두꺼비세무사 이장원, 보통의 세금, 상속세 정말 개편될까?)
교보문고
책 자세히 보기 : https://iryan.kr/t73bqaua1x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