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X역은 다양한 승객이 이용하는 공간으로, 응급 상황이나 안전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대비하여 KTX역에서 제공되는 안전 정보와 응급 서비스에 대해 아래와 같이 정리했습니다.
1. 응급실 및 약국 정보
KTX역에는 응급실은 없지만, 간단한 응급 처치가 가능한 의료실이 마련된 경우가 있습니다. 대부분의 주요 역에는 약국이 입점해 있어 의약품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
- 의료실 위치: 대합실이나 고객센터 근처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음
- 약국 이용 시간: 일반적으로 오전 9시~저녁 9시 운영
역명 | 의료실 위치 | 약국 위치 | 운영시간 |
서울역 | 대합실 2층 | 대합실 3층 출구 근처 | 09:00~21:00 |
부산역 | 1층 고객센터 옆 | 1층 출구 근처 | 08:30~22:00 |
대전역 | 2층 플랫폼 근처 | 대합실 내 | 09:00~20:00 |
2. 응급 상황 대응 절차
(1) 갑작스러운 건강 문제
- 역 인근 가까운 의료실이나 약국을 찾습니다.
- 필요 시, KTX 직원에게 도움을 요청하거나 응급 의료서비스(119)에 바로 연락하세요.
(2) 화재 발생 시
- 비상 대피 경로: 역마다 비상구와 대피 경로가 표시되어 있으므로 미리 확인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 화재 경보: 비상벨을 누르거나 안내 방송을 따릅니다.
(3) 범죄 및 안전 위협 상황
- KTX 내 보안요원이 순찰 중이며, CCTV가 설치되어 있어 빠르게 신고가 가능합니다.
- 즉각적인 도움이 필요하면 역 내 비상 호출 버튼을 눌러 도움을 요청하세요.
3. 비상 연락처
KTX 역이나 열차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긴급 상황에 대비해 아래의 연락처를 알아두면 좋습니다.
- 고객센터: 1544-7788 (KTX 관련 문의 및 긴급 상황 신고)
- 응급 의료서비스: 119
- 경찰 신고: 112
- 철도 보안 서비스: 각 역 고객센터를 통해 연결 가능
4. 비상 장비 및 위치 안내
역 내에는 다양한 비상 장비가 구비되어 있습니다.
- AED(자동 심장 충격기): 주요 역의 대합실이나 승강장 근처에 비치
- 소화기 및 소화전: 50m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벽면에 위치 표시
- 비상 호출기: 플랫폼 및 열차 내 설치, 긴급 상황 시 직접 누르면 역무원과 연결
장비 | 설치 위치 | 비고 |
AED | 대합실, 승강장 근처 | 사용법은 장비에 부착된 안내문 참고 |
소화기 | 대합실, 플랫폼 벽면 | 화재 시, 즉시 사용 가능 |
비상 호출 버튼 | 승강장 및 열차 내부 | 버튼을 누르면 역무원과 연결 |
5. 안전 교육 및 캠페인
KTX역에서는 승객들의 안전 의식을 높이기 위해 정기적으로 안전 캠페인을 진행하거나, 비상 상황에 대비한 교육 영상을 제공합니다.
- 비상 대피 훈련 영상: 대합실 내 스크린에서 재생
- 캠페인 활동: “안전한 열차 여행” 캠페인으로 비상 상황 대비 정보를 공유
6. 유의사항
- 비상구 및 대피 경로는 평소에 반드시 확인하여 비상 시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합니다.
- 역 내에서 위험한 물건(인화성 물질 등)을 휴대하지 않도록 유의합니다.
- 응급상황이 발생했을 때 침착하게 주변에 도움을 요청하세요.
위 정보는 KTX 주요 역에서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규정을 기반으로 작성된 것이며, 세부 내용은 역마다 다를 수 있으니 역내 고객센터에 문의하여 응급상황에 빠르게 대처하시기 바랍니다.